<하질하 : One Page 中 2W1H 답변하기 연습 ver.>
22.08.23 철학이 왜 재밌어? [논리]
What
1. 철학책 읽기
2. 어려운 내용은 강의 듣기
3. 관련해서 토론하기
Why
1. 지적호기심/지적허영심 충족
- 당대 대가의 사고 프로세스를 일일히 따라가 볼 수 있다
- <워렌버핏과 10분 대화>는 수백만원을 써야하지만, 철학책은 역사적 사상가와 겁나 찐하게 대화가 가능하다. 불과 2만원 남짓으로.
2. 새로운 아이디어와 관점
- 중요하다고 생각해본 적 없는, 생각도 못해 본 주제에 대해 정말 '치열하게' -심하면 평생을 바쳐서-
고민한 사람이 존재한다는 사실과 그런 괴짜의 생각을 읽어보는 것 만으로도 일상적으로 굳어있던 뇌를 말랑말랑하게 해준다. 생각보다 엄청난 리프레쉬가 됨
3. 모호함에서 나오는 다양성
- 수학처럼 답이 딱 떨어지는 내용이 아니기 때문에, 같은 구절을 읽어도 사람마다 다른 해석과 깨달음을 얻어간다.
철학 토론(말이 토론이지 마구 떠들기)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유
How
-What과 동일하게 나오네. 포맷을 미씨하게 다시 정리해보자.
[결론]
철학은 대가들의 생각하는 방식을 그대로 습득할 수 있는 가장 가성비 좋은 방법이고, 철학 토론은 모든 인간은 다르다는 점에서 낯선 인간과 다양성에 대해 열린 마음을 갖게 한다.
[추가 제안] 철학 토론은 왜 재밌어?
철학같이 사고 '과정'만 익히는 콘텐츠의 경우, 굉장히 산만해질 수 있다는 것이 단점이다. (실제로 철학과에 가면 말을 횡설수설하는 사람이 굉장히 많다. 굉장히..)
따라서 사고를 '정리'하는 단계가 꼭 병행되어야 한다.
본인의 생각을 정리하고 남들에게 일목요연하게 전달하는 방법을 연습하기에 가장 좋은 방법은 자유로운 토론이기 때문에 철학책을 읽고 토론까지 하는 것을 추천한다!
➡️원래는 추가 제언 부분까지 결론이었는데, 그렇게 되면 <철학이 왜 재미있어?> 가 아니라
<철학 토론은 왜 필요한가?> 라는 질문에 대한 답이 되기 때문에, 전체 논리가 묘하게 어긋나게 된다.
그래서 결론에서 쳐내고 따로 빼버렸다.
'하루 질문 하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질하] 카리스마란 뭘까? (ahn) (0) | 2022.09.01 |
---|---|
[하루질문하나] 오늘 한 평소에 안 하던 행동은? (0) | 2022.08.29 |
파우치 놓고 온 자를 위한 메이크업 키트 (0) | 2022.06.24 |
감정적인거랑 감수성이 풍부한 것의 차이 (0) | 2022.04.20 |
프리지아를 욕하는 사람들이 많은 이유는 (0) | 2022.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