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융 IQ 올리기 (금알못의 하루 1시간 금융 공부) 14

경제 호황기 vs 불황기? 판단법

[ 목차 ] 1) 경제 지표로 경기예측 : 경기종합지수(CI), 경기동향지수(DI)2) 설문조사로 경기예측 : 기업경기조사(BSI), 소비자조사3) 계량모형으로 경기예측4) 마무리하며 : 위 지표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현재 경제상황 check 앞선 포스팅에서 말했듯이 경제는 순환하고, 그 순환기에 맞는 대비책을 마련해둬야 한다. 호황기에 투자하고, 불황기에 비축하는 사람들.. 혹시 나? 결론부터 말하자면 금융지능이 높은 사람들은 호황기에는 비축하고, 불황기에는 투자한다. 보통의 사람들은 호황기에 금리가 낮아지고, 돈이 풀리고, 부동산과 주식 가격이 상승하면 부자가 된 theyeonjin.tistory.com 호황기에는 다가올 불황기에 대비해서 돈을 비축해두고,불황기에는 다가올 호황기에 대비해서 돈을 풀어..

파생 상품 옵션

파생상품이란? 환율이나 금리, 주가 등의 시세 변동에 따른 손실 위험을 줄이기 위한 금융상품. 일정 시점에 일정한 가격으로 주식과 채권 같은 상품들을 기초 자산으로 하여 새로운 현금 흐름을 가져다주는 증권이다. 옵션이란? 파생 상품의 종류 중 하나로, 특정 기초 자산을 미래의 특정 시점인 옵션 만기일에 미리 정해 둔 행사가격으로 사고팔 수 있는 권리 옵션의 종류 1) 콜옵션 미래에 특정 기초 자산을 행사가격에 매수할 수 있는, 살 권리를 가지는 옵션 2) 풋옵션 미래에 특정 기초 자산을 행사 가격에 매도할 수 있는, 팔 권리를 가지는 옵션 옵션 프리미엄 1) 콜옵션 매수자는 미래에 특정 기초 자산의 가격이 상승할 것을 기대하며 권리를 가지며, 이에 대해 콜옵션 매도자에게 옵션 프리미엄을 가격으로 지불하고..

(영/한) 항공 주식, 가을철 기업 출장 수요에 힘입어 반등할 수 있을까?

3줄 요약 1. 항공기 시장이 가을철 기업 출장 수요를 통한 반등을 기대하고 있다. 2. 항공 주가 반등이 어려운 4가지 이유 [원본 기사] https://www.wsj.com/articles/airlines-hold-to-a-business-travel-rebound-this-fall-11628069400?mod=flipboard Airlines’ Bet on Business-Travel Rebound Tested by Delta Variant Airlines are redrawing their route maps, betting that business travelers who have largely stayed put in the past year will return despite fresh wo..

호황기에 투자하고, 불황기에 비축하는 사람들.. 혹시 나?

결론부터 말하자면 금융지능이 높은 사람들은 호황기에는 비축하고, 불황기에는 투자한다. 보통의 사람들은 호황기에 금리가 낮아지고, 돈이 풀리고, 부동산과 주식 가격이 상승하면 부자가 된 착각에 소비를 늘린다. 부자처럼 보이기 위한 소비를 하기 시작하는 것이다. 그러다가 불황기가 되면 자산 가치와 소득이 하락하는 와중에 호황기에 벌려놓은 빚들을 갚느라 허덕인다. 그러나 금융지능이 높은 사람들은 호황기에 비축하고, 불황기에는 투자한다. 호황기에는 다가올 불경기에 대비한다. 호황기에 고평가 되는 자산(주식, 부동산, 실물자산 중 원유 등)에서 자금을 빼내서, 상대적으로 저평가되는 자산 (금 :대표적인 안전자산)에 투자를 하고 불경기에 대비한다. 고평가 자산들은 회복기에 사고 호황기 고점에서는 비중을 미리 낮춰 ..

세금해방일 (Tax Freedom Day)

세금해방일 (Tax Freedom Day) 정부가 국민에게 부과한 세금을 내기 위해 국민들이 얼마 동안 일 해야 하는지 알려주는 지표입니다. 1년 12개월 동안 내야하는 모든 세금을 충당하고 세금으로 부터 자유로워지는 날까지 걸리는 근무일수를 의미하죠. 가령, 우리나라의 세금해방일은 2020년 기준 4월 5일입니다. 우리나라 노동자들은 365일 중 1월 1일부터 4월 5일까지 해당하는 기간 동안 버는 돈을 모두 세금으로 내고 있다는 뜻입니다. 당연히 국가가 요구하는 세금액이 많아질수록 세금해방일은 늦춰집니다. 우리나라 세금해방일 변천사는 2017년은 3월 25일, 2018년은 3월 31일, 2020년은 4월 5일로 점점 늦춰지고 있습니다. 정부에 내는 세금을 충당하기 위해 일해야 하는 날이 늘어나고 있다..

[영업/판매] 가장 먼저 '파는 방법'을 배워라

경제/금융 서적에서 자신의 성공담을 전하는 미국 작가들의 이야기 중 공통적인 부분은 '영업' 경험이다. 그들은 영업사원으로 근무했던 자신의 경험이 삶에 긍정적인 도움을 줬다고 얘기한다. 자신의 가진 것을 다른 사람에게 팔기 위해 쪽팔림과 거부에 대한 두려움을 무릅쓰고 용기를 낸 경험, 그리고 자신이 가진 제품을 더 잘 팔기 위해 연구한 영업 전략들이 좋은 양분이 되었다고 한다. 사실 한국에서 영업과 판매는 경시받는다. 경영학과를 졸업하면 대부분의 신입사원들은 판매나 영업부서에 들어가거나 다른 부서를 들어가도 이와 비슷한 업무를 수행한다. 실제로 회사에 가장 많이 필요한 새로운 인력이 판매 영업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교사 엄마에게 학교 선배가 대기업 영업부에 입사했다더라고 전하면 '왜 영업직?' '넌 영업..

자본이득 vs 현금흐름 : 둘의 차이를 알아야 부자가 될 수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본이득(capital gains)과 현금흐름(cash flow)를 혼동한다. 우리가 자산을 획득해 부자가 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현금흐름이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본이득을 축적하는 데에 매몰되어 유의미한 자산을 획득하고 돈을 창출할 기회를 잃는다. 자본이득만 가지게 되면 부동산시장과 주식시장이 무너질 때 시장과 함께 돈을 잃게 된다. 이 두 개념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우선 '순자산(net worth)'을 알아야한다. 순자산은 대차대조표의 총자산에서 부채를 뺀 것으로, 자기자본이라고도 한다. 순자산은 대개 자본이득으로 정해진다. 가령, 10억 원짜리 집을 샀다면 이 부동산의 순자산은 10억 원이다. 하지만 집을 팔 때 5억 원밖에 받지 못했고, 대출금 7억 원을 갚아야 한다면 순자산은..

[금융지능] 8가지 균형요소

1. 소명 영적인 사명과 원동력 모든 일의 방향성과 목표를 잡아주는 힘 2. 팀 나의 약점은 보완하고 서로의 강점은 높여줄 수 있는 MICE한 팀 3. 리더 진정한 리더의 가장 가치 있는 통찰은 팀이며, 팀이 곧 성공의 핵심 요소다. 썩은물이 돼지 않기 위해 피드백을 수용하는 태도를 갖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4. 제품 제품은 경제 세계에서 우리가 돈과 바꾸는 것으로, 현금을 끌어들이는 도구다.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사람을 만났을 때 내가(로버트 기요사키) 가장 먼저 보는 것은 그가 만들어내는 제품이다. 그리고 이 제품은 나의 소명과 연관되어 있어야 한다. cf. 영업, 판매사원의 중요성 5. 법률 규칙을 이해하고, 그러한 규칙과 조화를 이루며 막힘없이 일을 풀어나갈 때 성공을 훨씬 앞당길 수 있..

보험은 재테크 수단이 될 수 있는가?

[보험] "보험은 재테크 수단이 아니다" 변액연금보험의 경우, 한 달에 20만원의 보험료를 내면 그 중 위험보험료를 떼고, 부가보험료를 뗀 후, 나머지를 저축보험료로 떼어 펀드에 투자한다. 그러고 나서 수익이 나면 연금 형태로 돌려준다. K-컨슈머리포트 曰 대부분 상품의 실효수익률이 지난 10년간의 물가상승률에 미치지 못한다 보험을 저축이라고 생각하고 보장성 보험에 가입하게 되면, 금전적으로 손실도 많이 가고 내가 원하는 저축의 효과도 별로 없다. 보험은 펀드같은 투자 상품이 아니다. 차라리 보험금이 낮은 보장성 보험에 가입하고 나머지 돈은 투자로 굴리는 것이 더 낫다. (1) 한경비즈니스, , 2020.11.02 magazine.hankyung.com/money/article/202101202637c ..

자산과 부채 : 당신의 재무제표는 어떤 상태인가

[자산과 부채] 백과사전 정의에 따르면 자산은 개인이나 법인이 소유하고 있는 유형, 무형의 유가치물 부채는 제삼자에게 지고 있는 금전상의 의무(빚)으로 나온다. 그러나 더 명확한 정의는 자산은 내 지갑에 돈을 넣어주는 것, 부채는 내 지갑에서 돈을 빼가는 것이다. Cf. 로버트 기요사키 자산과 부채를 구분하는 것은 현금 흐름이다. 내가 직접 일하지 않아도 내게 정기적인 수입을 안겨주는 것은 자산이다. 한편 그것을 구매함으로 인해 향후 정기적인 지출을 야기하는 것은 부채다. 자산에는 사업체, 부동산, 특허, 저작권, 라이센스, 주식/채권/펀드 등이 있다. 기요사키는 진정 유의미한 자산은 내가 직접 관여하지 않아도 그에 대한 통제력을 잃지 않는 경우라고 말한다. 만약 내가 사업체를 가지고 있는데 매일 출근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