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융 IQ 올리기 (금알못의 하루 1시간 금융 공부) 14

펀드란? 분산투자는 과연 바람직한가?

| 참고자료 |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로버트 기요사키 FUND? 다수의 사람으로부터 모은 자금을 주식이나 채권에 투자 후, 수익을 나누어 갖는 금융상품 내가 펀드를 사면 -> 나와 같은 펀드를 산 사람들의 돈이 모여서 -> 수탁회사로 간다. 수탁회사가 이 돈을 가지고 있다가 -> 자산운용회사의 펀드매니저가 결정한대로 투자하고 -> 거기서 나온 이익을 투자 비율대로 나눠준다 : 펀드 -> 수탁회사 -> 자산운용회사 -> 주식 펀드에서 중요한 것은 라는 사실을 아는 것이다. 투자는 한마디로 다 날릴 수도 있다는 의미다. 유형 펀드의 유형에는 크게 채권형, 주식형, 그리고 혼합형이 있다. 주식형은 위험이 큰 고위험 상품이다. 고수익과 저위험은 병행할 수 없는 요소라고 생각해야 한다. 은행에서 펀드를 사..

그러나 우리는 아직도 게으르고 순진하고 무지합니다 _ EBS 자본주의 <3부 : 금융지능은 있는가>

은행의 비밀 사람들은 은행을 신뢰하는 경향이 있다. TV에 나오는 각종 보험 광고는 '가족 같은' 따뜻하고 신뢰가는 이웃의 이미지를 보여준다. 은행은 전문적이고, 돈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거쳐야하는 기관이니까 대부분 은행을 쉽게 믿는다. 그러나 은행은 정말 나의 이웃일까? 하지만 금융 지능이 높은 사람들은 과연 은행을 어떻게 다룰까? 한국투자자보호재단이 2008년에 실시한 펀드투자자조사에 따르면 에 대한 1위 답변이 '이전부터 주거래 금융기관이어서'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거래 및 투자를 위한 선택을 내릴 때 은행의 조건을 따지는 합리적인 과정을 거치지 않는다. 은행은 이익을 목적으로 하는 '기업'이다. 절대 자신들의 이익보다 고객의 이익을 우선시하지 않는다. 은행원이 특정 상품을 추천하는 이유는 ..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은행의 원리, 지급준비율, 돈은 빚이다

www.youtube.com/watch?v=aUh8TxkNFFc 돈이 돌아가는 원리를 모르면 의자앉기 게임의 희생자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돈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는 금융자본주의 세상에서 빚은 돈이고 돈은 빚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돈의 노예, 빚의 노예일 수밖에 없습니다. 나무가 아닌 숲을 보는 안목이 필요합니다. 미국이 어떻게 돌아가고 그래서 우리나라의 정책은 어떻게 변할 것인지 생각할 수 있어야 합니다. 스스로 중심을 잡고 판단해야 합니다. All money is credit, all money. 은행이란 무엇인가? 1부는 '부분 지급 준비율'의 개념에서 시작해 은행이 어떤 방식으로 돈을 얻고, 불리고, 이용하는지 알려주고 있다. 현재의 통화 시스템이 어떻게 출발했는지 알려주기 때문에 현재의 금융 시..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로버트 기요사키

부자는 자산을 산다. 가난한 사람들은 지출만 한다. 중산층은 부채를 사면서 자산이라고 생각한다. 독서 모임에서 홍래가 발제한 책 이 책을 읽으면서 하루 1시간 씩 경제, 회계, 투자 등 금융 공부에 쓰기로 마음 먹었다. 이런 결심을 하게 된 이유는, 책에서 말한대로 내가 금융을 학교에서 배운 죽은 지식으로만 접하고 있었음을 절실히 느꼈기 때문. 나는 경영학과를 졸업했고 학교를 다니면서 회계와 재무 강의를 들었으며 당시 꽤 높은 학점을 받았는데도, 저자가 책에서 언급하기 전까지는 '자산'과 '부채'를 구분하는 것의 중요성을 알지 못했다. 그냥 대차대조표를 쓸 때 현금흐름을 정확히 맞추기 위해서 (-와 +를 제대로 계산하려고) 뭐가 자산인지, 뭐가 부채인지 외우고 제시된 사례에 적용해서 올바른 현금흐름을 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