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간 2

분당 vs 일산 신도시 취향 대결 (근데 현대백화점을 곁들인)

이미 여성 타겟의 하이엔드 브랜드들은 어느 쇼핑몰을 가도 구성이 비슷하다. 따라서 차별화를 주기 위해선 남성 고객의 니즈를 활용해야한다. 남성들이 눈 돌아갈 만한 브랜드를 센스있게 모아둔 공간이 있다면 그 곳이야말로 차별화된 놀이 공간으로 어필할 수 있지 않을까? 인트로 현대백화점 분당 판교점과 일산 킨텍스점의 입점 브랜드와 문화센터 강좌 유형을 비교해서 두 지역의 소비 취향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있다면 어떤 의미를 시사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크게 1)다이닝 2)여성패션 3)남성패션 4)문화센터로 나눠볼 예정이다. 이 글은 전반적으로 피에르 부르디외의 세 가지 사회자본인 경제, 사회, 문화자본과 이를 기반으로 형성된 하비투스(계급, 행위, 구조를 결정하는 사회적 습관) 개념을 빌려쓰고 있다. 포스팅의..

공간 2021.09.26

유튜브 <서울은 이상한 도시> : 나는 서울의 낡음을 사랑해

꽤 재밌는 채널을 찾았다. 서울 곳곳에 있는 건축적, 공간적 특이점을 발견하고 취재해서 아카이빙하는 채널인듯. 알터 시절 작업들 생각나고, 그 때 우리팀이 생각했던 점들을 실제로 재밌게 영상으로 녹여낸 점이 부러웠다. 우리도 각잡고 도시의 아이들 기획을 추진해서 시리즈물을 연재했다면 좋았을까? 한국만이, 서울만이 가지고 있는 특유의 바이브를 담은 공간과 순간들을 취재하는 점이 좋다. 마장동, 문래동, 마포 먹자골목, 노량진 수산시장 등 서울의 변천사를 퇴적층처럼 그대로 보여주는 서울의 공간들이 낡았다는 이유만으로 재개발의 대상으로 여겨지는 오늘날 서울만의 정체성을 조명함으로써 도시 재생이라는 명목 하에 행해지는 무의미한 리뉴얼에 경종을 울릴 수 있길 바란다. 나는 신도시에는 없는 서울만의 낡음과 골목 문..

공간 2021.04.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