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222

이번 주 방문한 음악과 술 동시에 즐기는 곳들.... (을지로 평균율, 한강진 numb)

1) 을지로 평균율 작은 LP바 사장님이 LP를 직접 선별해서 틀어주신다. 노래가 끝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중간에 바뀌는 경우도 있는데 난 오히려 좋았다. 음악 관리와 음료 제조를 한 분이 동시에 하셔서 매우 바빠보이셨다.. 조명이 어둡고 공간이 작아서 아늑한데 거기에 음악으로 가득차니까 좋았다. 신청곡을 받는 체제는 아니어서 음악 무드가 일관적이다. 삘을 계속 유지할 수 있음. 살라미 크림치즈 맛있었다. 햄이 엄청 짠데 크림치즈는 완전 달아서 단짠의 정석. 꿀이랑 후추와의 조합이 찰떡. 술은 역시 위스키.. 고르기 귀찮을 땐 무조건 발베니.. 2) 한강진 numb 여긴 신청곡 틀어준다. 난 제일 윗층에 자리했는데, 스피커 성량이 미쳤다.. 내가 신청한 노래가 나올 때의 희열. 다른 층에 나이대가 있으..

2021년 4~6월 전시리스트 (서울)

내가 보려고 적는 전시리스트 1) 피크닉 - Gardening 2021.4.24 - 10.24피크닉 (회현역)사전예약, 유료 친구가 아마 Piet Oudolf 관련 전시인 것 같다고 한다...미쳤다. 내가 piet oudolf 좋아하는건 어찌 알고? 애초에 조경작가라서 한국에서 많이 유명하지 않은 걸로 알고있는데 피크닉 당신은 대체...... (아니면 머쓱) 2) 라드 - Stuck 합정역 카페인듯. 카페 갈 겸 들려서 구경하기 좋을지도 3) 롯데월드몰 - Street noise 2021.02.26 - 06.13롯데월드몰 (잠실)그래피티 아티스트 관련 4) 성북구립 미술관 5) DDP - 케이팝 x 한복 6) 코사이어티 - objects in context 2021.04.09 - 04.18코사이어티 (서..

공간/전시 2021.04.16

[금융지능] 8가지 균형요소

1. 소명 영적인 사명과 원동력 모든 일의 방향성과 목표를 잡아주는 힘 2. 팀 나의 약점은 보완하고 서로의 강점은 높여줄 수 있는 MICE한 팀 3. 리더 진정한 리더의 가장 가치 있는 통찰은 팀이며, 팀이 곧 성공의 핵심 요소다. 썩은물이 돼지 않기 위해 피드백을 수용하는 태도를 갖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4. 제품 제품은 경제 세계에서 우리가 돈과 바꾸는 것으로, 현금을 끌어들이는 도구다.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사람을 만났을 때 내가(로버트 기요사키) 가장 먼저 보는 것은 그가 만들어내는 제품이다. 그리고 이 제품은 나의 소명과 연관되어 있어야 한다. cf. 영업, 판매사원의 중요성 5. 법률 규칙을 이해하고, 그러한 규칙과 조화를 이루며 막힘없이 일을 풀어나갈 때 성공을 훨씬 앞당길 수 있..

보험은 재테크 수단이 될 수 있는가?

[보험] "보험은 재테크 수단이 아니다" 변액연금보험의 경우, 한 달에 20만원의 보험료를 내면 그 중 위험보험료를 떼고, 부가보험료를 뗀 후, 나머지를 저축보험료로 떼어 펀드에 투자한다. 그러고 나서 수익이 나면 연금 형태로 돌려준다. K-컨슈머리포트 曰 대부분 상품의 실효수익률이 지난 10년간의 물가상승률에 미치지 못한다 보험을 저축이라고 생각하고 보장성 보험에 가입하게 되면, 금전적으로 손실도 많이 가고 내가 원하는 저축의 효과도 별로 없다. 보험은 펀드같은 투자 상품이 아니다. 차라리 보험금이 낮은 보장성 보험에 가입하고 나머지 돈은 투자로 굴리는 것이 더 낫다. (1) 한경비즈니스, , 2020.11.02 magazine.hankyung.com/money/article/202101202637c ..

자산과 부채 : 당신의 재무제표는 어떤 상태인가

[자산과 부채] 백과사전 정의에 따르면 자산은 개인이나 법인이 소유하고 있는 유형, 무형의 유가치물 부채는 제삼자에게 지고 있는 금전상의 의무(빚)으로 나온다. 그러나 더 명확한 정의는 자산은 내 지갑에 돈을 넣어주는 것, 부채는 내 지갑에서 돈을 빼가는 것이다. Cf. 로버트 기요사키 자산과 부채를 구분하는 것은 현금 흐름이다. 내가 직접 일하지 않아도 내게 정기적인 수입을 안겨주는 것은 자산이다. 한편 그것을 구매함으로 인해 향후 정기적인 지출을 야기하는 것은 부채다. 자산에는 사업체, 부동산, 특허, 저작권, 라이센스, 주식/채권/펀드 등이 있다. 기요사키는 진정 유의미한 자산은 내가 직접 관여하지 않아도 그에 대한 통제력을 잃지 않는 경우라고 말한다. 만약 내가 사업체를 가지고 있는데 매일 출근해..

펀드란? 분산투자는 과연 바람직한가?

| 참고자료 |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로버트 기요사키 FUND? 다수의 사람으로부터 모은 자금을 주식이나 채권에 투자 후, 수익을 나누어 갖는 금융상품 내가 펀드를 사면 -> 나와 같은 펀드를 산 사람들의 돈이 모여서 -> 수탁회사로 간다. 수탁회사가 이 돈을 가지고 있다가 -> 자산운용회사의 펀드매니저가 결정한대로 투자하고 -> 거기서 나온 이익을 투자 비율대로 나눠준다 : 펀드 -> 수탁회사 -> 자산운용회사 -> 주식 펀드에서 중요한 것은 라는 사실을 아는 것이다. 투자는 한마디로 다 날릴 수도 있다는 의미다. 유형 펀드의 유형에는 크게 채권형, 주식형, 그리고 혼합형이 있다. 주식형은 위험이 큰 고위험 상품이다. 고수익과 저위험은 병행할 수 없는 요소라고 생각해야 한다. 은행에서 펀드를 사..

그러나 우리는 아직도 게으르고 순진하고 무지합니다 _ EBS 자본주의 <3부 : 금융지능은 있는가>

은행의 비밀 사람들은 은행을 신뢰하는 경향이 있다. TV에 나오는 각종 보험 광고는 '가족 같은' 따뜻하고 신뢰가는 이웃의 이미지를 보여준다. 은행은 전문적이고, 돈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거쳐야하는 기관이니까 대부분 은행을 쉽게 믿는다. 그러나 은행은 정말 나의 이웃일까? 하지만 금융 지능이 높은 사람들은 과연 은행을 어떻게 다룰까? 한국투자자보호재단이 2008년에 실시한 펀드투자자조사에 따르면 에 대한 1위 답변이 '이전부터 주거래 금융기관이어서'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거래 및 투자를 위한 선택을 내릴 때 은행의 조건을 따지는 합리적인 과정을 거치지 않는다. 은행은 이익을 목적으로 하는 '기업'이다. 절대 자신들의 이익보다 고객의 이익을 우선시하지 않는다. 은행원이 특정 상품을 추천하는 이유는 ..

21.03.11 잃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기

내 것이 아닌 것들을 붙잡아 두려고 너무 많은 시간과 돈과 감정을 낭비한 것은 아닐까? 나를 돌아봐주지 않는 인연과 기회에 전전긍긍하고 서운해하기보다 그것들이 나를 찾아오게 만드는 것이 더 쉽고 확실한 방법이라고 생각하게 되자 마음이 편해졌다. 나는 항상 하나를 잃으면 그보다 더 새롭고 좋은 것이 빈자리를 채워주는 인생을 살아왔는데, 엄마는 그게 내 타고난 복이라고 늘 좋아했다. 그러니 앞으로는 잃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자. 오히려 새로운 무언가를 얻고 배우게 될 징조로 삼고 더 적극적으로 부딪히고 감내하자.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은행의 원리, 지급준비율, 돈은 빚이다

www.youtube.com/watch?v=aUh8TxkNFFc 돈이 돌아가는 원리를 모르면 의자앉기 게임의 희생자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돈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는 금융자본주의 세상에서 빚은 돈이고 돈은 빚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돈의 노예, 빚의 노예일 수밖에 없습니다. 나무가 아닌 숲을 보는 안목이 필요합니다. 미국이 어떻게 돌아가고 그래서 우리나라의 정책은 어떻게 변할 것인지 생각할 수 있어야 합니다. 스스로 중심을 잡고 판단해야 합니다. All money is credit, all money. 은행이란 무엇인가? 1부는 '부분 지급 준비율'의 개념에서 시작해 은행이 어떤 방식으로 돈을 얻고, 불리고, 이용하는지 알려주고 있다. 현재의 통화 시스템이 어떻게 출발했는지 알려주기 때문에 현재의 금융 시..

반응형